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인간은 이기적 유전자의 복제 욕구를
수행하는 생존 기계다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진화 과정의 중심에 유전자를 두는 설득력 있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1976년에 처음 출판된 이 책은 시간의 시련을 견뎌냈고, 진화 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살아남아 현재까지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도킨스의 유전자 중심적 관점은 자연 선택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뒤엎으면서 생명의 진화와 다양한 행동의 발달 뒤에 있는 원동력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했다.
도킨스의 명확하고 매력적인 문체는 복잡한 과학적 개념을 접근하기 쉽고 매혹적인 방식으로 능숙하게 설명한다. 이것이 이 책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이다.
저자는 자신의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생생한 비유와 예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생물학과 진화라는 주제를 친훅하게 전달한다
"이기적 유전자"에서 제시된 가장 획기적인 아이디어 중 하나는 "이기적인" 유전자의 개념인데, 이는 유전자가 자신의 생존과 복제를 극대화하기 위해 행동할 때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도킨스는 이 이기심이 어떻게 친족 선택과 호혜적 이타주의의 과정을 통해 이타주의와 협력을 포함한 광범위한 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지…(어렵다) 설명한다.
이 책의 또 다른 획기적 측면은 문화적 전달의 단위로서 "밈"의 개념을 소개하는 것인데, 아이디어와 정보의 영역에서 밈을 유전자에 비교한 도킨스의 연구는 문화적 진화와 믿음, 관습, 그리고 행동의 전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실 이 책이 유명해진 이유는 바로 이 밈이라는 단어 때문이 아닐까.. 요즘 우리가 쉽게쓰는 그 밈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왔다.
쉽게말해 생각속에서 전파된다는 것이다
"이기적인 유전자"는 널리 칭찬을 받았지만, 어떤 비평가들은 이 책이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도 비판하고 다른 비평가들은 "이기적인" 유전자의 은유가 무심코 인간 행동에 대한 결정론적 관점을 부추긴다고도 비판한다…칭찬만 받을 순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비판은 도킨스의 연구의 전반적인 중요성과 영향을 훼손하진는 못했다
결론적으로, 리차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진화에 대한 사고를 유발하고 혁명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이는 생명과 행동의 발달을 형성하는 유전자의 중심적인 역할을 강조한다. 매력적인 문체, 생생한 사례, 그리고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이 책은 지구 생명체의 진화를 이끄는 힘을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좋아할듯.